본문 바로가기
전체

존 2 트레이닝을 하려고 걷는 속도 (5.5~5.7km/h)로 42분 조깅, 저강도 유산소 훈련 - 2025.05.20(화) 운동일지

by 이으니브 2025. 5. 20.
반응형

2025.05.20(화) 운동일지
금/토/일 3일 연속 템포 러닝으로 조금 빠르게 달렸더니, 살짝 뒤꿈치~아킬레스 건 쪽 통증이 올랑말랑 해서 조심하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오래간만에 존 2 러닝을 하려고 마음먹고 아주 천천히 달리기로 했다. 심박수를 130 초반대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 트레드밀 세팅은 거의 대부분의 시간 동안 5.5km/h를 유지하였다. 빨라봤자 6km/h 정도

오늘은 10분대 pace로 빠른 걷기 보다도 느리게

일단 트레드밀 속도를 거의 손대지 않고 계속 달리는 폼을 유지하면서 130 bpm 근처에서 심박수 유지하는 것에는 성공하였다. 아래 그림에서 가민 워치의 '오늘의 워크아웃' 목표가 141 bpm (=흰색 실선)이었으나 나의 목표는 130 bpm이었다. 아무튼 예쁜 모양으로 잘 나왔다.

비교적 낮은 심박수 유지에 성공

역시 살살 달리니 거리 마일리지는 조금밖에 못 쌓았지만 저강도 유산소 부하를 추가할 수 있었다. (최근 계속 고강도 부하만 쌓이는 중이었음)

기초체력 양성 (저강도 유산소 트레이닝 부하 +)

오늘도 유튜브 채널 '케이던스 마법사'에서 176~180 bpm 음악을 들으면서 케이던스를 잘 조절했다. 나중에 스피드 올라가면 좀 더 높은 케이던스의 음악을 들어야 할 것 같다.

케이던스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예전에 내가 기억하는 것보다 존 2 영역의 심박수 기준이 낮아져 있어서 130 bpm은 이제 존 3였다!! 가민 워치가 계속 나의 기록을 보면서 각 영역의 경계(threshold) 값을 계속 조정하는 것 같은데, 아무튼 이제 나의 존 2는 108~125 bpm이라니 너무 낮은 것 같은데?? (제자리 뛰기를 해도 이 정도 나올 듯...) 일단 나의 경우엔 저강도는 130 bpm 근처, 보통 강도는 141 bpm 근처로 생각하고 있어야겠다.

존 2 러닝은 생각보다 어려웠다.
오늘의 운동

- 오늘의 운동일지 끝 -

반응형

댓글